12 Mar

맥북의 터치바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에 따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터치바를 제대로 활용하면 업무 속도를 높이고,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맞춤형 단축키를 설정하면 자신만의 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어 더욱 유용하다. 이번 글에서는 맥북 터치바를 활용하는 방법과 효율적인 단축키 설정 팁을 자세히 알아보겠다.

맥북 터치바를 더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

맥북의 터치바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기능 키 패널로, 사용자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기능이 다르게 표시된다. 기본적으로 밝기 조절, 볼륨 조절, 미디어 컨트롤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 환경에 맞춰 최적화하면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가장 먼저, 시스템 환경설정에서 터치바의 기본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기본 설정에서는 애플이 제공하는 기능이 표시되지만, "터치바에서 기능 키 표시" 옵션을 사용하면 전통적인 F1~F12 키처럼 활용할 수 있다. 이는 개발자나 특정 소프트웨어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또한, 터치바에 표시되는 컨트롤을 사용자 지정할 수도 있다. "시스템 환경설정 > 키보드 > 터치바 사용자화" 메뉴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버튼만 남기고 불필요한 기능은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 스크린샷을 자주 찍는다면 "화면 캡처" 버튼을 추가하면 매우 편리하다.각 애플리케이션별로 터치바의 기능이 다르게 표시되므로, 특정 앱을 사용할 때 어떤 기능이 유용한지 확인하고, 필요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Safari에서는 탭 이동을 빠르게 할 수 있고, Photoshop에서는 브러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적극 활용하면 더욱 빠르게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맞춤형 단축키 설정으로 터치바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방법

맥북의 터치바는 기본 제공되는 기능만으로도 편리하지만, 직접 맞춤형 단축키를 설정하면 더욱 강력한 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BetterTouchTool" 같은 서드파티 앱을 활용하면 터치바를 더욱 세밀하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BetterTouchTool을 이용하면 특정 앱에서만 동작하는 맞춤형 버튼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익스포트" 버튼을 추가하면 매번 메뉴를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특정 키보드 조합을 터치바에 등록하면 손쉽게 단축키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mmand + Shift + 4"를 터치바 버튼으로 만들어두면 손쉽게 선택 영역 캡처를 실행할 수 있다.애플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동화" 기능을 활용하면 터치바를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utomator"를 이용해 특정 작업을 실행하는 단축 버튼을 만들고 이를 터치바에 배치하면 반복적인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폴더를 터치바 버튼 하나로 열 수 있도록 설정하면 클릭 몇 번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또한, "Karabiner-Elements" 같은 키보드 리매핑 도구를 활용하면 터치바에 원하는 키를 할당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터치바에 기능 키를 배치하거나, 특정 키 조합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맥을 사용하면서 한영 변환을 터치바에서 빠르게 실행하도록 설정하면 더욱 편리하다.터치바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파악하고, 이를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작정 많은 기능을 추가하기보다는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터치바를 커스터마이징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맥북의 터치바는 단순한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작업 속도를 높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기본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맞춤형 단축키 설정을 통해 자신만의 작업 스타일에 맞게 조정하면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설정과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터치바를 적극 활용해보자.

Comments
* The email will not be published on the website.
I BUILT MY SITE FOR FREE USING